로컬호스트(127.0.0.1)에 대해 포트 3개에 각각 3개의 node로 redis 서버를 cluster로 구성하기
먼저 .conf파일을 포트(7001,7002,7003)에 맞춰서 3개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.
port 7001
cluster-enabled yes
cluster-node-timeout 5000
pidfile /var/run/redis_7001.pid
dbfilename dump-cluster01.rdb
cluster-config-file nodes-7001.conf
그 다음 redis-server 구동 밑 binding 실시(마스터 노드를 적어도 3개는 만들어야된다고 report함)
$ redis-server ./redis-cluster01.conf &
$ redis-server ./redis-cluster02.conf &
$ redis-server ./redis-cluster03.conf &
$ redis-cli --cluster create 127.0.0.1:7001 127.0.0.1:7002 127.0.0.1:7003 --cluster-replicas 0
결과
테스트
./redis-cli -c -p 7003
127.0.0.1:7003> set choi duheon
-> Redirected to slot [5727] located at 127.0.0.1:7002
OK
/*benchmark*/
./redis-benchmark -n 30 -r 32 -d 1024 -c 1000 -p 7003
Discussion
- server 환경 구축을 위해서 multi-node환경에서 redis를 구축하여 보았다. redis-cli에서 기초 명령어를 실행하였을 때 데이터가 특정 node간에 이동을 하는 것으로 보아, 초기 세팅 때에도 main-node와 sub-node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. 이러한 구동환경을 실험할 수 있는 working set이 필요하다.
참조: https://blog.leocat.kr/notes/2017/11/07/redis-simple-cluster
'Black board > Red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dis-benchmark 실행해보기 (0) | 2019.10.02 |
---|---|
Redis (0) | 2019.10.02 |
댓글